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회사를 그만두고 싶을 정도로 '일에 지쳤다'고 느낄 때의 대처법

건강백과

by 칼이쓰마 2022. 5. 10. 16:44

본문

반응형

회사를 그만두고 싶을 정도로 '일에 지쳤다'라고 느낄 때의 대처법

이제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라고 생각할 정도로 일에 지쳐버렸을 때 정말 그만둬도 좋을지, 아니면 뭔가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하는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거기서,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할 정도로 피곤하다」 때의 대처법에 대해서, 인사·채용 컨설턴트로서 많은 비즈니스 퍼슨과 마주해 온 소와 토시미츠 씨에게 자세하게 물었습니다.


일에 지쳐 그만두고 싶은 주된 원인
「그만두고 싶을 정도로, 일에 지쳐 버렸다」라고 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 대부분은 워커홀릭(일중독)에 빠져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 상태 그대로 아무것도 손을 쓰지 않고 있으면, 늦어도 번아웃(타버린 증후군)되어 버려, 의욕을 잃어 심신에 좋지 않은 상태가 되어 버릴 우려가 있습니다.

워커홀릭에 빠져 있는지 여부는 처음부터 보면 알기 어려운 것입니다. 보람 있게 열심히 일에 몰두하고 있는 상태로 보여도 사실은 책임감과 사명감만으로 무리를 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일이 즐겁고 다소 무리를 해도 전혀 피로를 느끼지 않는 '플로우 상태'에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두 사례 모두 표면적으로는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주위에서는 분간하기 어렵고, "활짝 일할 줄 알았는데 갑자기 번 아웃해 버렸다"며 놀라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똑같아 보이고 바쁜 사람과 바빠도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사람의 차이는 왜 생기는 걸까.

크게 다음의 3가지 요인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 그만두고 싶다 피곤하다

-일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이 없다
아무리 일에서 성과를 올려도 그에 대한 피드백이 없으면 자신의 일에 의미를 찾을 수 없고 보람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영업직 등의 경우는 고객으로부터 감사받는 등 비교적 반응을 얻기 쉬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사무계 직종이나 엔지니어 등 자연스럽게 피드백을 얻기 어려운 업무의 경우는 사내에 피드백 체제가 없으면 보람을 잃을 수 있습니다. 승인 욕구도 충족되기 어렵고, 헛된 노동 감을 기억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주위의 서포트를 얻기 어려운 상태에 있다
드라이한 직장에서 서로 도울 환경이 없다, 난이도가 높은 일도 상사나 선배가 도와주지 않는다, 연수나 스터디 등의 기회가 없다… 등 주위로부터의 서포트를 얻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사람은 고독감, 고립감을 느끼기 쉬워져, 일의 부하를 느끼기 쉬워집니다.

누구에게도 상담하지 못하고 혼자서 고민을 계속한 결과 심신에 좋지 않은 것을 기억하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스스로 일을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스스로 일을 통제할 수 있는' 상태는 자신감이나 자기 효력 감으로 이어져 보람을 느끼기 쉽습니다.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을 관리하면서 일에 임함으로써 피로도 느끼기 어려워집니다.

반대로 재량권이 주어지지 않고 하나부터 열까지 방식이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는 자기효력감을 느끼지 못하고 스트레스만 쌓일 수 있습니다.

-그만두고 싶을 정도로 피곤할 때의 대처법
회사를 그만두고 싶을 정도로 지쳐 있는 상태는 손쉬운 재충전 방법으로 어떻게든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근본 원인의 경감·해소에 움직이는 것이, 현상 개선으로 연결됩니다.

-피드백을 직접 받으러 가다
일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이 없다면 직접 받으러 갑시다.예를 들면, 상사에게 1on1을 부탁하는 등, "지난번에 000의 반향은 어땠습니까?" "이 일을 이렇게 궁리해 봤는데 어땠습니까?"하고 이쪽에서 꼬박꼬박 물어보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듣고 피드백을 하지 않는 상사는 없을 것이다.자신의 일의 평가를 얻는 것으로, 일상의 업무에 의미를 느낄 수 있어 「워크·인게이지먼트(일에 대한 애착심)」를 높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스로 지원을 요구하는 SOS를 내놓다
도움을 받기 어려운 환경에서 외로움, 고립감을 느낀다면 스스로 도움을 청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까도 말씀 드렸습니다만, 워커홀릭인지 플로우 상태인지를 주위가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텔레워크로 물리적으로 거리가 먼 환경에 있다면 더더욱 스스로 SOS를 내놓지 않으면 눈치채지 못할 것입니다.

큰 일에 이르기 전에 「이 일의 여기서 곤란하고 있기 때문에 누군지 가르쳐 달라」 「업무량이 많아서 펑크가 날 것 같으니 누군가 서포트해 달라」라고 신청합시다.

'스스로 지원을 요구하다니 평가가 내려가지 않을까'라고 궁금해하는 사람도 있지만 결코 그런 일은 없습니다.반대로 혼자서 끌어안고 일을 지체시키는 편이 큰 문제. 약함을 보일 용기를 가지고 스스로 발신합시다.

-자율성이 있는 부서로의 이동이나 이직을 검토하다
전술한 3가지 요인 중, 자신의 움직임이나 노력만으로는 맞서기 어려운 것이, 이 「일의 컨트롤」입니다.열심히 통제하려다 회사 체제가 바뀌지 않으면 한계가 있습니다. 또, 예를 들면 생산 관리나 품질 관리 등, 어느 정도 룰에 준해 실시할 필요가 있는 업무, 자유도를 높이기 어려운 업무도 있을 것입니다.

스스로 일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있고 그것이 피로와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있다면 '재량권을 더 달라'고 상사에게 청하거나 효율적인 일의 진행 방법을 제안해 보는 것은 한 방법입니다.

다만, 회사의 체제나 사업 방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당장은 상황을 바꿀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사내에서도 비교적 자율성이 높을 것 같은 부서로 이동원을 내거나 재량권을 얻을 수 있는 회사로의 이직도 검토해 봅시다.




사실 '근본 원인은 일이 아니다'일 수도 있다
실은 「일로 인해 그만두고 싶다」라고 생각하고 있어도, 근본 원인은 프라이빗이나 피지컬면에 있다…라고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족이 병에 걸렸다, 연인과 헤어졌다 등의 정신적 스트레스나 부상이나 질병, 수면 부족 등의 컨디션이 나빠 퍼포먼스가 떨어지고 있는데 그것을 눈앞의 일이나 상사 등의 탓으로 돌리고 있는 사람은 결코 적지 않습니다.

이 경우 위와 같은 대처법을 시행하더라도 원인을 잘못 보고 있기 때문에 근본 해결이 되지 않으며, 또 같은 고민을 거듭하게 됩니다.

몸에 익은 사람은 우선은 '그만두고 싶은 원인이 일 이외에 있을 가능성은 없는가?'를 생각하고 나서 대처법을 생각하는 편이 좋을지도 모릅니다.

예를 들면, 사적인 문제를 진지하게 마주해 보기, 목욕이나 아로마 테라피등의 스트레스를 경감하는 방법을 시험하기, 컨디션 불량의 원인을 밝혀 치료하기(잠 부족이나 숙취에 의한 컨디션 불량이라면, 규칙적인 생활을 유의하기)등을 실시해 봅시다.

사실 사생활 문제가 해결되거나 몸이 돌아오면 일이 즐거워지고 상황이 개선됐다라는 예는 적지 않습니다.

그래도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는 경우는 일단 쉬어본다.
지금까지의 방법을 시도해보고, 그래도 아직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는 마음이 변하지 않는다면 일은 상당히 심각합니다. 그만둘 생각을 하기 전에 일단 쉬도록 합시다. 일정 기간 휴직하여 몸과 마음을 잘 쉬어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기 쉬운 것이 '쉬는 것이 아니라 업무량을 줄인다'지만 별로 좋은 방책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심각한 심신의 부진은 휴양에 전념함으로써 회복됩니다. 어설프게 일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나았다고 생각해도 다시 반복할 우려가 있습니다.

게다가 업무량을 줄여 「60%의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을 계속 하는 것은 능력 개발에도, 캐리어 개발에도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100% 이상의 힘을 낼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사람이 성장하고 더 위를 지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능력 개발·캐리어 개발의 생각의 하나로 「Shrink to grow(슈링크·투·글로)」(성장을 위한 축소)가 있습니다.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단 멈춰 서서 잘 쉬고 100%의 힘을 낼 수 있게 된 후 복귀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책임감이 강하고 성실한 사람일수록 쉬는 것에 거부감을 느낄 것이고 쉬면 돌아올 곳이 없어지지 않을까 불안해하겠지만 세상에는 한 번 쉬고 복귀해 맹활약하는 사람은 태산입니다.

최근 연예인이나 아티스트가 휴양을 발표하는 예가 몇 가지 보였지만 경영자 등 비즈니스계에서도 결코 드물지 않으며 겉으로 보이지 않을 뿐 사내에도 사실 많이 있을 것입니다. 저 스스로 인사담당자로서 그런 사람들을 많이 봐왔습니다.

아무래도 불안한 사람은 상사나 인사 부문에 상담해 쉬었다가 복귀해 활약하고 있는 예를 배우는 것도 좋을지도 모릅니다.사례가 있으면 쉴 용기가 생길 것이다. 무리를 해서 열심히 해 버스트 하거나 일을 줄이고 섣불리 공회전하는 것보다 나중에 돌아보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역할이나 수비범위, 매니지먼트직(관리직)에 취임하는 방법을 소개

 

역할이나 수비범위, 매니지먼트직(관리직)에 취임하는 방법을 소개

역할이나 수비 범위, 매니지먼트직(관리직)에 취임하는 방법을 소개 일에 막무가내로 임해 온 젊은 시절을 거쳐, 20대 후반이 되면, 다음의 스텝으로서 「매니지먼트직에 취임하는」 

honghee-kim.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